1. React Component 렌더링
1) 렌더링은 Index.js 에서 실행한다. 해당 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가 실행시켜준다.
- 이 안에서 블럭 쌓듯이 코딩한다.
컴포넌트 규칙
1) 컴포넌트의 이름은 반드시 영어 대문자로 시작
2)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export 해주어야 한다.
3)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를 사용하려면 import 하여야 한다.
2. JSX
JSX 규칙
1) 카멜케이스 원칙: className
2) js : {}
3) css, style : {{}} + object
알아야 할 문법
1) 가정문 : if-else, swich -> 삼항 연산자
2) 반복문 : for -> map
3) 스프레드 오퍼레이터
3. useState
: state의 값이 바뀌어도 화면을 재렌더링(새로고침) 시킬 필요가 없다.
const [변수의 이름, state를 바꿔주는 함수] = useState(sate의 초기 값);
1) 첫번째 인자 : 변수의 이름
2) 두번째 인자 : state를 바꿔주는 함수
3) useState 함수 인자 : state의 초기 모든 Type, 값
4) state의 값을 바꿀 때는 항상 setState 사용
5) setState를 html 태그의 on 속성 호출 : function(){} , 화살표 함수 사용
4. react-router-dom@6
1) BrowserRouter로 감싸준다.
2) Routes로 감싸준다.
3) Route에 따라서 정해준다.
- path(URL 주소)의 규칙에 따라 element가 렌더링된다.
코딩 규칙
1) index.js에서 BrowserRouter로 App을 감싸준다.
2) App.js에서 Routes와 Route로만 코딩한다.
- Header는 항상 Routes 위에 설정해준다.
a태그 속성
Link 태그
5. props
: 공통된 부분 빼기, 자식에게 전달
이름={전달해주고자하는 변수}
이름={전달해주고자하는 함수}
6. useEffect
: 리엑트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hook이다.
- 컴포넌트가 mount 됐을 때, unmount 됐을 때, update 됐을 때 특정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.
'Development > Reac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함수형 컴포넌트를 쓰는 이유는 뭘까? (0) | 2022.03.06 |
---|---|
React를 왜 쓸까? (0) | 2022.03.06 |
[React] useEffect 무한반복 문제 (0) | 2022.02.06 |
'react-scripts'은(는) 내부 또는 외부 명령,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,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. (0) | 2022.02.06 |
[React] router 이동시, 에러 (0) | 2022.02.04 |